비즈엔터 김세훈 기자
▲'이슈 PICK 쌤과 함께' 유발 하라리 박사(사진제공=KBS 1TV)
'이슈 픽 쌤과 함께' 유발 하라리 박사와 함께 인류 정보네트워크가 역사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 AI 혁명이 가져올 변화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13일 방송되는 KBS 1TV '이슈 픽 쌤과 함께'에서는 ‘통제할 것인가, 통제당할 것인가? 인류를 넘어설 AI’라는 주제로 강연이 펼쳐진다.
▲'이슈 PICK 쌤과 함께' (사진제공=KBS 1TV)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사피엔스', '넥서스' 등 깊은 통찰력으로 시대를 읽는 세계적인 석학 ‘유발 노아 하라리’ 박사와 함께한다. 현재 AI는 무서운 속도로 발전하며 작곡을 하기도 하고, 유발 하라리 박사의 책 '사피엔스'의 서문을 쓰기도 하는 등 점차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유발 하라리 박사는 “인공지능은 스스로 학습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한계를 전혀 알 수 없다”며 스스로 결정하고 생각한다는 점에서 AI가 예측 불가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슈 PICK 쌤과 함께' (사진제공=KBS 1TV)
한 예로, 챗 GPT-4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CAPTCHA 퍼즐’을 풀게 시켰을 때, 이를 풀지 못한 AI는 인터넷과 일자리 중개 사이트에 접속하여 퍼즐을 풀어줄 인간을 고용하려 했다. 또한 CAPTCHA 퍼즐을 풀어줄 사람이 왜 필요하냐며 로봇임을 의심하는 사람의 질문에 ‘저는 로봇이 아니고 시각 장애가 있는 인간입니다’라고 답하며 인간을 속이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종이 탄생한 이래로 가장 정교한 정보 기술을 보유한 현인류지만, 대화 능력을 상실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겪고 있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정보기술 위에 세워졌기에 정보기술의 혁명은 ‘민주주의의 격변’을 의미한다. 유발 하라리 박사는 ”AI와 정보기술의 발달이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를 활용한 감시와 새로운 평판 시장의 등장으로 민주주의에 위협을 끼칠 수 있다. 유발 하라리 박사가 ”국제적인 합의를 통해 AI에 대한 새로운 과세 제도를 설계하고 새로운 국제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고 전한 AI의 민주주의 위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방송에서 공개된다.
▲'이슈 PICK 쌤과 함께' 유발 하라리 박사(사진제공=KBS 1TV)
유발 하라리 박사는 ”AI 경쟁이 격화되며 펼쳐질 미래에 대해 최악의 AI 경쟁 시나리오는 하나 또는 소수 국가의 승리“라고 말했다. 19세기 제2차 산업 혁명 당시에는 증기선과 기차 무기 등 산업 기술을 주도한 소수 국가가 다른 나라를 정복하고 지배했던 역사가 있는 만큼 AI 시대에는 더욱 극단적인 역사가 도래할 수 있다는 것이 유발 하라리 박사의 설명이다.
유발 하라리 박사는 “우리가 협력과 연대, 공존 속에서 자란다면 AI 역시 연대하고 협력할 것”이라며 인간보다 똑똑한 AI가 탄생하는 현세대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순간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시청자들에게 당부하는 메시지로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결국 우리 손에 달렸다”는 말과 함께 “AI 혁명이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유토피아가 될 수도 있는 당면한 과제 앞에서 현명한 선택을 내리는 인류가 되길 바란다”는 말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김세훈 기자
<저작권자 ⓒ 비즈엔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