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지역난방공사(한난)가 국내 집단에너지 도입 40주년을 맞아 미래 산업 방향을 공유하는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한난은 2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2025 집단에너지 국제 심포지엄’을 열고, ‘AI × 무탄소, 집단에너지의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과 차세대 기술 전략을 논의한다. 2015년 국제세미나 이후 10년 만에 마련된 자리로 국회·정부·주한 대사·국내외 에너지 전문가 등 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정용기 사장의 개회사 이후 ‘Next 40years, Dimension Up!’을 슬로건으로 한 새로운 비전이 공개된다. 이어 에너지경제연구원 김현제 원장과 독일 지역난방협회 베르너 루치 회장이 기조 발표를 맡아 ‘글로벌 기후변화와 에너지 대전환’, ‘독일의 녹색전환’을 주제로 한국의 탄소중립 전략을 제안한다.
2부에선 집단에너지의 미래를 여는 MOU 4건의 체결식이 열린다. 한난은 덴마크 이노파워와 전극보일러 기술 협력, 핀란드 스테디에너지와 열전용 SMR 기반 난방 협력, 몽골 울란바토르 난방공사와 재생에너지·천연가스 기반 사업 협력, 한국전력기술과 무탄소화 기술 협력 등 국제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후 A홀과 B홀에서 ‘정책·전략’, ‘신기술’ 두 분과 학술회의가 이어진다. A홀에서는 집단에너지 정책방향, AI 적용 사례, K-난방 북방비즈니스 진출 전략 등을 논의하고, ‘집단에너지의 녹색 대전환’을 주제로 토론이 진행된다. B홀에서는 ‘H2 Repowering for Next’, ‘무탄소 열’ 등 수소·히트펌프·P2H·SMR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발표와 패널 토의가 이어진다.
심포지엄 현장에는 한난의 미래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홍보부스도 운영할 계획이다. 로비에서는 스마트 안전·통합운영·수송·유지보수 등 AX 기반 ‘스마트 한난’ 시스템이 영상과 체험형 콘텐츠로 공개되고, C홀에서는 열전용 SMR, P2H, 수소터빈 등 무탄소 에너지 신기술이 전시된다.
정용기 사장은 이번 행사를 “집단에너지업계의 차원 도약과 미래 40년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하며 “녹색대전환(Green-X)과 인공지능대전환(AI-X)을 통해 집단에너지 혁신을 이끌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