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정부 시스템 647개 멈췄다
입력 2025-09-27 10:53   

▲행정안전부(이투데이DB)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멈춰 섰다. 우편·금융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가 차질을 빚는 가운데, 정부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서버 가동을 중단하고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7일 브리핑에서 “화재 여파로 항온항습기가 작동을 멈추면서 서버 과열 위험이 커졌다”며 “정보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국정자원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제7전산실의 항온항습 장치가 꺼지면서 서버 등 주요 장비의 열기가 급격히 높아질 가능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체 서버 전원이 차단됐고, 대전 본원에서 운영되던 647개 시스템이 중단됐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과 광주·대구센터를 포함해 총 1,600개 정부 업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김 차관은 “항온항습기 복구가 우선”이라며 “이후 서버 재가동을 통해 우체국 금융·우편 등 국민 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서비스부터 신속히 정상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화재는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터리 교체 작업 중 발생했다. 전원이 차단된 리튬이온 배터리 1개에서 폭발이 일어나며 불길이 번졌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무정전 전원장치는 전산 시스템에 끊김 없는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장치다.

정부는 민원 처리 지연으로 국민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금 납부와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하기로 했다. 또 이날 오전 8시 재난문자를 발송해 “정부서비스 장애 발생에 따른 관공서 방문 전 확인”을 안내하고, 대체사이트 이용과 오프라인 창구 활용을 당부했다.

김 차관은 “구체적인 장애 현황과 대체 경로는 네이버 공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며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해 불편을 끼친 점 송구하다. 신속한 복구와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