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진모 칼럼] ‘군함도’ ‘브이아이피’ 국뽕 여혐 논란작의 해외 수상의 뜻
입력 2017-10-18 09:35   

▲영화 '군함도' 포스터(출처=CJ E&M)

류승완 감독의 영화 ‘군함도’가 15일(현지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제50회 시체스국제판타스틱영화제 경쟁부문인 오르비타섹션(주목할 만한 부문)에서 최고작품상을 받았다. ‘최고의 서사 드라마 액션이 공존하는,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장르 콤비네이션이라는 게 선정의 이유. 류 감독은 이 영화제에서 ‘부당거래’로 카사아시아상(2011)과 ‘베테랑’으로 포커스아시아상(2015)을 받은 바 있다.

‘군함도’는 지난 7월 26일 개봉일 100만 명에 가까운 관객을 동원하며 공개 전부터 입소문으로 나돌던 1000만 관객 달성이 가시권에 드는 듯했다. 그러나 영화를 본 관객들이 부정적인 평가를 잇달아 내면서 결국 659만여 명의 최종스코어로 막을 내렸다.

영화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은 전국 2700여 개 스크린 중 2000개를 차지한 독과점 논란이 불씨가 됐다. 최대 멀티플렉스인 CJ CGV가 ‘형제’ 배급사인 CJ엔터테인먼트를 지원하기 위해 스크린을 몰아줌으로써 재벌의 시장독식이 관객의 문화의 다양성을 즐길 권리를 빼앗아갔다는 논란을 야기했다.

더불어 보수성향 단체들의 촛불집회를 연상케 하는 ‘좌익영화’라는 선동이 일부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프로파간다(혹은 데마고기)에 힘을 실어줬다. 그러자 이념에 민감하지 않은 이들조차 ‘국뽕’ ‘역사왜곡’이라는 부정적 의견을 다양하게 표출해낸 게 결국 영화에 크게 악영향을 줌으로써 비호감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국뽕’은 역사왜곡 혹은 이데올로기의 선동에 해당된다. ‘인천상륙작전’이나 ‘국제시장’이 대표적으로 그 중심에 있었지만 다수의 영화적 취향은 이를 개의치 않았다. 물론 ‘군함도’는 역사적 사실과 다른 내용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중된 이데올로기를 조작하는 영화라고 단정하기 쉽지 않다.

군함도에 강제수용된 우리 노동자들의 정신적 지도자라는 독립운동가 윤학철(이경영)이 알고 보니 일제와 손잡고 노동자들의 수입과 인권을 착취하는 매국노였다는 설정이 불편할 수 있지만 당시 그런 한국인이 존재했다는 건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는 군함도의 이완용이었던 것이다.

영화는 누가 봐도 일제강점기라는 주권상실의 치욕의 시대에서 의외로 덜 알려진 역사적 아픔을 알리는 기능이 크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MBC ‘무한도전’이 소개하면 애국적 다큐멘터리를 예능에 활용한 좋은 예고, ‘군함도’가 픽션을 가미하면 역사왜곡이란 주장은 어딘가 설득력이 부족해 보인다.

그 증거는 멀리 있지 않다. 일본 우익세력이 개봉 전부터 폄훼의 왜곡운동을 펼치는가 하면 개봉 후 중국에서 쌍수를 들고 환영한 게 그것이다. 다만 특수요원 무영(송중기)이 이곳에 잠입해 소수의 희생자만을 낸 채 탈출시킨다는 설정은 상업적 장치가 영화의 주제의식을 희석했다는 비난에서 자유롭기 힘들다.

이런 ‘평점 테러’는 한 달 뒤 ‘브이아이피’(박훈정 감독)로 이어졌다. 이른바 여성비하라는 ‘젠더 감수성 논란’이다. 이 영화의 큰 줄기는 남자들의 욕망과 이에서 비롯된 갈등이고, 여자는 이에 희생당하는 매우 수동적이고 정체된 인물이며, 그래서 스크린 안에서 여성의 육체와 인격이 불쾌하게 묘사됐다는 것.

그런데 ‘브이아이피’도 지난달 미국 오스틴에서 열린 제13회 판타스틱페스트 장편스릴러 부문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판타스틱페스트는 북미 최대 규모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장르영화제로 지난해 ‘밀정’이 장편액션 부문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며 주목 받은 바 있다.

물론 스페인이나 미국의 문화적 정서는 우리와 많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의 논란에 대한 완벽한 면죄부가 되진 못할 것이다. 그럼에도 모든 사람들의 의견과 시각은 절대 같지 않다는 데 주목할 필요는 있다. 다른 것들을 획일화 전체화하려는 의도나 개인적인 편견과 아집을 다른 사람에게 억지로 주입하려 하는 행위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근거이기도 하다.

누구든 영화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낼 자유가 있다. SNS에 자신들만의 자유롭고 차별화된 의견을 마음대로 개진할 수 있다. 그만큼 아직 작품을 감상하지 않은 사람들이 선입견을 갖지 않는 것 역시 자신만의 문화적 향유에 긍정적이라는 것 역시 중요하다.

술병에 술이 반이 있을 때 어떤 이는 ‘아직도 반이나 남았다’고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가 하면 다른 이는 ‘벌써 반을 마셨다’라고 불안해한다. 동일한 현상이나 사물을 접한다고 모두의 의견이 같을 순 없다. 영화는 감독의 의도와 상관없이 관객 각자의 해석이 그들만의 재미이자 지적인 유희라는 데 변별성이 있다. 그래서 관객은 철학이 부족한 드라마보다 비용과 공간이동과 시간소비가 많은 영화 소비방식을 흔쾌히 따르는 것이다.

가스파 노에 감독의 ‘돌이킬 수 없는’(2002)은 칸국제영화제 공개 당시 무차별적이고 폭력적인 강간장면 탓에 구토하는 관객이 속출했는가 하면 피해여성 역을 맡았던 모니카 벨루치는 촬영 후 한참동안 정신과 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그럼에도 주최 측의 극찬을 받았다.

스릴러의 바이블처럼 칭송받는 ‘미저리’(1990)의 사이코패스인 주인공 여자 간호사는 영아를 살해한 뒤 이를 숨기고 외딴곳에 은거한 채 한 소설에 푹 빠진다. 때마침 그 작가가 여행 중 인근에서 교통사고를 내고 큰 부상을 당하자 집에 가두고 린치를 가하는 잔인한 캐릭터로 그려진다. 이것도 여성에 대한 편견이라고 봐야 할까?

물론 박훈정은 ‘악마를 보았다’의 시나리오를 썼다. 그의 젠더에 대한 고뇌와 고찰이 아쉽긴 하지만 그렇다고 ‘악마를 보았다’의 최경철과 ‘브이아이피’의 김광일이란 캐릭터가 사회에 울리는 교훈적인 메시지가 없다고 깎아내리긴 힘들며, 더 나아가 그런 인물이 없다고 볼 수도 없는 게 ‘어금니 아빠’ 등의 엄연한 현실이 주는 경종이다.

그럼에도 ‘니키타’ ‘루시’ 등의 뤽 베송이나 ‘델마와 루이스’ ‘에이리언’ 등의 리들리 스콧이 여성의 주체적 자립과 적극적 자아성찰, 그리고 이 모든 것의 행동양식화를 자주 그리는 것에 비교하면 아무래도 류 감독과 박 감독에 대한 아쉬움은 없을 수 없다. 그런데 다른 방향(취향)에서 봤을 때 두 감독에게 억지로 페미니즘을 강요할 수도 없다. 그냥 관객은 자신의 입맛에 맞는 감독을 고르면 될 따름이다. 그게 자유경쟁시장에서의 나름의 심판이다.

※외부 필진 칼럼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