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방송되는 EBS '명의'에서는 ‘뇌와 심장의 통로, 경동맥이 위험하다’라는 주제로 경동맥의 증상 치료법을 소개한다.
◆‘목 속 혈관’이 뇌를 위협한다
뇌졸중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와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질환이다. 그런데 그 출발점이 ‘머리’가 아닌 ‘목’일 수 있다. 심장에서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은 뇌 건강을 유지하는 핵심 혈관이다. 하지만 여기에 콜레스테롤과 염증이 쌓이면, 혈관이 점점 좁아지는 ‘경동맥 협착’이 발생한다. 문제는 이렇게 좁아진 혈관이 뇌로 가는 혈류를 제한하면서, 결국 뇌경색이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체 뇌졸중의 약 15~20%가 경동맥 협착과 관련된 만큼, ‘목 속 혈관’ 관리가 곧 뇌 건강 관리임을 기억해야 한다.

경동맥 협착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다. 혈관이 절반 이상 좁아져도 여전히 일상생활을 이어가곤 한다. 하지만 문제는 갑작스럽게 찾아온다. 혈관이 일정 이상 좁아져 혈류가 차단되면, 말이 어눌해지고 팔다리에 힘이 빠지며, 심할 경우 의식을 잃는 뇌졸중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미 ‘경고 신호’가 나타났을 때는 뇌가 손상된 후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처럼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속으로는 생명을 위협하는 경동맥 협착은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정기 건강검진이나 우연한 경동맥 초음파 검사에서 뒤늦게 발견되는 사례도 많다. 중요한 것은, 증상이 없다고 해서 안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나이가 들고, 고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면 반드시 경동맥 상태를 확인해봐야 한다.

경동맥 협착이 있다고 해서 모두 수술을 받는 것은 아니다. 치료는 협착의 정도와 증상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혈관이 50~60% 정도 좁아지고 뇌경색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치료와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우선 적용된다. 고지혈증약과 항혈소판제를 통해 혈관 상태의 악화를 늦춘다.
반면, 협착이 70% 이상이거나 언어장애, 마비 등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스텐트 삽입이나 내막절제술 등 시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치료 선택의 핵심은 협착의 정도뿐만 아니라 증상의 유무, 발견 시점에 있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조기 진단이 이루어진다면, 약물치료만으로도 뇌졸중 위험을 충분히 낮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