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하고 구체적이다. 아내 이보영에 대한 애정도, 자신에게 영향을 줬던 선배와 동료들에 대한 추억도, 심지어 그리 행복하지 않았던 어린 시절에 대한 이야기도, 배우 지성은 최근 영화 ‘명당’ 개봉 기념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자신에 대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나누었다. 자신의 연기력을 칭찬하는 말에는 겸손하게 “아직 자신은 부족한 사람”이라고 대답했다. 그저 입 발린 말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왜 아닌지’ 설명을 하는 식이다.
이처럼 진솔한 태도를 가진 지성은 “그동안 드라마 기회가 많았기 때문에 영화 쪽 기회가 부족한 게 사실이다. 앞으로도 영화에서도 많이 찾아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라며 인터뷰 시작부터 자신의 고민과 바람을 털어놓았다.
그동안 브라운관에서 주로 활약하던 그가 오랜만에 스크린 나들이를 했다. 영화 ‘명당’에서 지성이 맡은 흥선이라는 캐릭터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다. 조선 후기 급격한 변화기를 겪던 조선에서 아들인 왕을 대신해 나라를 다스리며 권력을 잡은 흥선대원군.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는 흥선대원군과 평소 선한 이미지를 가진 배우 지성의 싱크로율에 대해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명당’에서 지성이 맡은 흥선의 젊은 시기로, 우리가 알고 있는 모습과 조금 다른 인물이다.
“캐스팅이 되고 나서 흥선에 대해 공부를 했지만, 내 캐릭터를 구축하는 데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젊은 시기의 흥선이라 상상이 많이 필요했다. 힘들고 아픈 일도 많았기 때문에 열등의식마저 생기지 않았을까 싶었다. 흥선대원군 대신 인간 이하응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시나리오를 처음 받았을 때 우리나라도 혼란스러운 시기였는데, 흥선 대원군이 살았던 시기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 흥선대원군의 젊은 시기를 연기하는 것이 우리나라에 살면서 힘든 점을 대변하는 거라고 생각하며 연기했다.”
지성이 처음으로 ‘명당’에 등장하는 신은 잔치가 벌어지는 곳에서 흙바닥에 떨어진 음식을 강아지처럼 주워 먹는 장면이다. 겉으론 능청스러운 인물로 보이지만, 사실 날카로운 칼날을 숨기고 있는 인물. 그 안에서 처절함을 표현하는 지성은 잠깐의 눈빛만으로도 영화의 긴장감을 극도로 높인다.
“상갓집 개로라도 목숨을 부지하고 싶은 것이 당시 백성의 마음이 아니었을까. 이런 마음을 표현한 신이다. 사실 흙을 핥는 건 아무리 연기라도 힘들다. 혹시 다른 방법이 없을까 생각해 보기도 했지만, 이걸 안 하면 안 되겠더라. 주저 없이 흙을 먹었다. 치아에 돌이 낀 상태에서 ‘헤헤’거리는데, 그 연기를 하면서 흥선의 처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안타까운 건 이 장면을 후반에 찍은 거다.(웃음) 다시 ‘명당’을 찍게 된다면 이 신을 가장 먼저 찍을 거다.”
흥선의 캐릭터에는 진한 액션신도 포함되어 있다. 보통 배우들이 액션이 있는 작품을 들어갈 때, 액션스쿨에서 단기간 액션을 배우는 것과 달리 지성은 평소에도 개인 트레이너와 액션 연습을 해왔기 때문에 그의 액션신은 극에 자연스럽게 담길 수 있었다.
“언제부턴가 액션 트레이너와 함께 기술을 연마하고 있다. 몸 쓰는 것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거다. 이제 마흔 중반에 들어섰는데 갑자기 뭔가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게 갑자기 되지 않는다. 흉내 내는 정도만 하고 싶지도 않기 때문에 미리 준비한다. 배우니까 롱런하기 위해서 자격조건을 갖춰놔야 하는 것 같다. 그래야 한 가정의 아빠로서 힘을 받지 않겠나. 요새는 발레도 한다.(웃음) 드라마 ‘아는 와이프’ 때 다리 찢으면서 유연성 보여주는 신도 애드리브였는데, 발레를 녹여낸 것이다.(웃음)”
지성의 동료들의 말에 따르면, 그는 쉬는 시간에도 늘 연기 연습을 하면서 캐릭터의 감정을 놓치지 않으려고 한다. 이는 과거 극중 어머니 역이었던 배우 고두심의 연기 방법을 본받은 것으로, 지성은 ‘노력’을 ‘본능’처럼 다루기 위해 부단히 움직인다.
“별 연습 없이도 연기를 잘 하는, 타고난 사람은 있다. 하지만 나 같은 경우는 후천적이다. 본능적으로 하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본능을 만들어야지 거기에 빠질 수 있다는 거다. 그래서 촬영장에서는 딴 생각 하지 않는 편이다. 나 자신에 대한 장단점을 파악해서 확률치를 높이는 연기를 하려고 하는데, 확률치가 뭐냐면 카메라 안에 찍히는 연기를 말한다. 리허설 땐 잘 하다가 카메라 돌릴 때 못 하면 안 되니까. 김성균 앞에서 칼 쓰는 연습을 했던 것도 당시 너무 추웠는데, 웅크리고 있다가 칼싸움을 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 나도 즐기고 싶다.(웃음) 하지만 쉽게 바뀌진 않는다. 내 직업이 배우인데, 적당한 노력을 해야 하지 않겠나. 지금 하는 걸로 대충 하면서 살 수도 있지만 내 성격상 못 하는 것 같다. 와이프가 내게 매일 ‘애쓴다’고 말 한다.(웃음)”
연말시상식에서 대상을 수상할 정도로 ‘연기의 신’으로도 불리는 지성이 이렇게 노력을 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을 주는 이야기다. 하지만 지성은 자신의 능력을 후천적이라고 말하며 “여전히 공부하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돈을 많이 벌고 스타가 되어야지는 마음으론 배우를 못 할 거 같다. 누가 내 연기를 좋다고 말하는 것도 잘 못 듣겠다. 이걸 겸손하다고 보시는 분들이 있는데, 가끔 이것 또한 스트레스로 다가올 때가 있었다. 가식적이라고 하는 사람을 보면서 나도 내가 ‘가식인가?’ 생각해 봤다. ‘내가 부족하니까 겸손으로 때우려고 하는 건가’ 싶기도 해서 바꿔보려고 했는데, 더 스트레스더라. 그냥 살기로 했다.(웃음) 대상의 의미는 나에게 크게 온 적이 없다. 그 시기 열심히 한 사람 중 운이 있어서 받은 거다. 내 연기는 아직 부족하다. 즐기면서 하기보다 공부하는 마음으로 연기를 하고 있다.”
지성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그가 정말 연기를 좋아서 한다는 것이 느껴진다. 자신을 “노력이 많이 필요한 사람”이라고 말하면서도 연기를 이토록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처음으로 내게 영향을 줬던 배우가 있다. 아역 배우 출신 이민우다. 나와는 친구인데, 내 데뷔작 드라마 ‘카이스트’의 주인공이었다. 4살부터 연기를 시작했으니까 당시 그 친구는 26년차 경력이었다. 이민우의 연기를 보면서 나는 감히 할 수 없는 연기력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고 나니 내 주어진 역할도 커지더라. 그런데 나는 두려웠다. 내가 능력이 없으니까. 그래서 모든 일을 하나하나 글을 써나가나 듯이 귀담아 듣고 노력하다 보니까 어느새 잘하든 못하든 역할을 소화할 수 있게 되었더라. 그리고 시간이 정말 빠르다. 20년이나 지났을지 몰랐고, 대상으로 호명됐을 땐 나도 자부심 가지고 환호할 줄 알았는데, 그 마음은 눈꼽 만큼도 안 들더라. ‘내가 받을 만 했나’ ‘창피하진 않나’ 몸둘바를 모르겠고, 받고나서 기쁘기보다는 책임감이 느껴졌다. ‘명당’ 또한 마찬가지다. 좋은 배우들이 많은데 내가 한 구석을 맡게 된 거다. 혹시 내가 누가 될까봐 걱정됐다. 개봉 하고 한명 한 명 보러 와주시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조금 과하게 말하자면 내가 삶에 지치고 포기하고 싶을 때가 있더라도 배우라는 내 직업이 큰 힘을 준다. 그리고 이보영의 역할이 크다.(웃음)”
이처럼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지성의 최종 목표가 궁금해진다. 이날 내내 ‘기승전 이보영’을 외치던 그는 마지막까지 가족 이야기로 인터뷰를 마무리 하면서 자신의 미래 모습을 꿈꿨다.
“최종 목표는 없다. 다만 내가 나이가 많으니까 아이가 30세에 결혼해도 나는 그때 70세가 아닌가. 롱런해서 좋은 아빠의 모습을 보이고 싶다. 훌륭함까지는 아니어도 보기 좋은 아빠의 모습으로 늘 열심히 일하고 싶고, 아이가 결혼할 때 건강하게 두 손 붙잡고 들어가고 싶다.(웃음) 가족 건강이 가장 큰 목표고, 극장에 걸린 내 작품을 보면서 아내에게 ‘괜찮아?’라고 물어볼 수 있는 정도면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