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035420)가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중 최초로 지난해 연간 매출 10조 원을 넘어섰다.
네이버는 7일 공시를 통해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2조 885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4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7% 증가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5,311억 원을 웃도는 수치다.
2023년 연간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11.0% 성장한 10조 7377억 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영업이익도 1조 9793억 원으로, 전년보다 32.9% 증가했다.
네이버는 2018년 처음으로 매출 5조 원을 돌파한 이후 신사업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6년 만에 '매출 10조 클럽'에 합류했다. 특히 지난해 모든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며 분기마다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4분기 서치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1조 647억 원을 기록했다. 연간 매출은 3조 94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9% 성장했다. 네이버는 광고 효율 개선과 외부 매체 확대를 통해 플랫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커머스 부문은 지난해 10월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와 멤버십 제휴 효과 등에 힘입어 4분기 매출 7751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한 수치다. 연간 매출은 2조 92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8% 성장했다.
핀테크 부문의 4분기 매출은 400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했다. 콘텐츠 부문은 4673억 원으로 소폭(0.2%) 상승했다.
클라우드 부문은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트윈 사업 매출 지속 등 영향으로 4분기 매출이 1766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41.1% 증가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올해는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에 AI 전략을 본격적으로 적용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AI 기술을 바탕으로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새로운 가치와 사업 기회를 창출해 네이버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또 커머스 부문에서는 상반기 중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을 새롭게 출시해, 검색 중심의 쇼핑 경험을 개인 맞춤형 탐색 중심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다 직관적이고 강력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한편, 네이버는 이날 주주총회 공시를 통해 이해진 창업자의 사내 이사 복귀 안건을 발표했다. 다음 달 주주총회에서 해당 안건이 승인되면, 2017년 이사회 의장직에서 물러났던 이 창업자가 7년 만에 다시 네이버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할 전망이다.
이 창업자는 2017년 3월 "사업에 집중하겠다"며 의장직에서 내려왔으며, 2018년에는 등기이사직도 사임했다.
이 창업자는 복귀 이후 네이버의 핵심 전략인 인공지능(AI) 사업을 직접 지휘하며, 빅테크 기업 간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신사업 분야에서 도약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